경기도박물관이 영화와 유물을 결합한 독창적인 영화제 ‘제1회 박물관영화제’를 선보인다. 이번 영화제는 1월 10일부터 26일까지 경기도박물관에서 진행되며, 박물관의 유물을 중심으로 영화와 전시를 연결해 새로운 관람 경험을 제공한다.

박물관영화제는 영화와 유물을 통해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하며, 박물관이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역동적인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하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동국 경기도박물관장이 영화제 집행위원장을 맡았으며, 박물관과 영화계 전문가 12명이 추진위원으로 참여했다.

이번 영화제는 세 가지 섹션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섹션 ‘조선의 시간 속으로’는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관상’, ‘왕의 남자’, ‘역린’ 등 7편을 상영하며, 경기도박물관이 소장한 조선시대 유물과의 연관성을 조명한다.

두 번째 섹션 ‘빛을 향한 기억’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며, 영화 ‘암살’, ‘말모이’, ‘동주’ 등 시대적 아픔과 극복을 다룬 작품 3편을 선보인다.

세 번째 섹션 ‘특별상영: 황진이, 그녀를 살아내다’에서는 1986년과 2007년에 개봉된 두 편의 ‘황진이’ 영화를 상영해 역사 속 인물을 새로운 시각으로 탐구한다.

영화 상영 후에는 GV(Guest Visit) 토크 콘서트가 이어진다. 박물관 학예사가 직접 참여해 영화와 유물을 연결해 해석하며 관객에게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영화 ‘관상’ 상영 후에는 박물관의 소장 유물인 ‘우암 송시열 초상’을 통해 권력자들의 얼굴을 읽어내는 영화 속 장면과 초상화의 사회적 메시지를 비교한다. 영화 ‘역린’이 상영된 뒤에는 정조의 문화적 행보를 반영한 병풍화 ‘책가도’를 중심으로 정조의 왕권 강화 정책을 설명한다.

또한, 조선시대 복식을 다룬 영화 ‘상의원’ 상영 후에는 영화 속 복식과 박물관 소장 복식을 비교하며 당시 패션 트렌드와 민중의 갈망을 풀어낼 예정이다.

영화제는 심포지엄도 마련했다. ‘다양성을 담다: 박물관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도약’이라는 주제로, 박물관의 문화공간으로서의 가능성과 영화·유물을 활용한 새로운 콘텐츠 창출 방안을 모색한다.

이동국 경기도박물관장은 “영화 속 유물은 단순한 배경이나 장식으로 여겨졌지만, 박물관에서의 영화는 유물을 중심으로 해석의 폭을 넓히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