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보드 '컨트리 디지털 송 세일즈' 차트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인공지능(AI) 기술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노래가 미국 빌보드 차트 정상에 오르며 음악 산업의 변화 속도가 한층 빨라지고 있다. 미국 빌보드는 15일(현지시간) 브레이킹 러스트(Breaking Rust)의 ‘워크 마이 워크(Walk My Walk)’가 컨트리 디지털 송 세일즈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브레이킹 러스트는 스포티파이에서 월간 청취자 260만 명을 보유한 가수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목소리·아티스트 사진·프로필 정보가 모두 AI 생성물이라는 분석이 잇따르며 음악계에서는 사실상 AI 가수로 분류되고 있다. AFP는 “러스트의 사진과 영상은 명백히 AI 기반 생성 이미지이며, 음악 산업은 그를 AI 가수로 규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작곡가로 표기된 오비에르 리발도 테일러 또한 ‘데프 비츠 AI(Def Beats AI)’ 프로젝트 관련 게시물 외에는 정보가 없어, AI 기반 창작 그룹 소속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AI 음악이 빌보드 정상에 오른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9월에는 AI 가수 저니아 모네(Journey Monet)의 곡 ‘하우 워즈 아이 서포즈드 투 노우?(How Was I Supposed to Know?)’가 빌보드 R&B 디지털 송 세일즈 차트 1위를 차지하며 AI 음악의 존재감을 처음으로 각인시켰다.

AFP는 “수노(Suno), 유디오(Udio)와 같은 AI 음악 생성 플랫폼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전적으로 AI가 만들어낸 곡들이 스트리밍 시장에 대거 등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 디저(Deezer)에 따르면 플랫폼에 하루 업로드되는 음악의 약 34%가 AI 생성음악이며, 8개국 9천 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7%가 AI 음악과 인간 창작 음악을 구별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AI 기술 기반 음악이 빌보드 차트 정상까지 오르며, 음악 제작·유통 방식의 대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AI와 인간 창작자의 공존, 저작권 체계 재정비, AI의 음악적 창의성에 대한 기준 논의 등이 앞으로 글로벌 음악 산업의 핵심 과제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