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문화재단 서울연극센터가 국내 미발표 아시아 희곡을 소개하는 ‘아시아 플레이(Asia Play)’를 오는 4월 3일부터 24일까지 매주 목요일 저녁 6시 30분, 서울연극센터 1층 라운지에서 무료로 선보인다.

지난해 6월 처음 시작된 ‘아시아 플레이’는 청년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연극적 도전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로, 지난해 공연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에 힘입어 올해는 보다 확장된 라인업과 깊이 있는 주제로 다시 무대에 오른다.

이번 프로그램은 연극 장르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 예술인들이 국내 미발표 아시아 희곡을 낭독 공연 형식으로 선보이는 기회로, 오세혁·김정·강훈구 등 대학로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연출가들과 함께 무대를 꾸민다.

올해 ‘아시아 플레이’는 단순한 희곡 소개를 넘어, 아시아 각국에서 격화되고 있는 사회적 갈등과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한국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동남아시아(싱가포르, 캄보디아) 및 서아시아(팔레스타인)의 희곡이 새롭게 포함됐으며, 지난해 큰 호응을 받았던 태국 작품 ‘아무 데도 없는 곳’은 새로운 연출과 배우로 다시 선보인다.

특히 올해 라인업은 식민통치, 냉전, 군부독재의 검열과 폭력 등 억압된 역사를 조명하고, 이를 살아가는 아시아 청년들의 삶과 연대를 그린다. 청년 예술가들은 무대에서 국가 간 사회적 모순의 유사점을 발견하고, 연극적 실험을 통해 국경을 초월한 공감과 소통의 가능성을 탐색할 예정이다.

총 8편의 낭독 공연은 매주 2편씩 진행된다. △대만 청년 두 명의 편지 속 과거를 조명하는 ‘소인’(3일, 프랭키 청 작/김정 연출) △팔레스타인 소시민의 일상 속 폭력을 그린 ‘케피예/메이드 인 차이나’(3일, 달리아 타하 작/강훈구 연출) △태국 팀마삿 학살 40주기를 기념해 초연된 ‘아무 데도 없는 곳’(10일, 프리딧 프라사통 작/정철 연출) △싱가포르 공연 검열의 역사를 조명한 ‘극장의 죽음’(10일, 알피안 사트 작/김남언 연출) △재일동포 3세 친구들의 우정을 담은 ‘조애아의 하늘’(17일, 김철의 작/오세혁 연출) △캄보디아 프놈펜 거리를 배경으로 한 ‘존엄의 천 번의 죽음’(17일, 사미티 속 작/류사라 연출) △개인적 사랑과 사회적 책임 사이에서 고민하는 대만 청춘을 그린 ‘여자 기숙사, 1990’(24일, 우지징 작/장한새 연출) △고립된 현대인이 연대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고독의 조각들’(24일, 차콘 차마이 와인 작/홍단비 연출) 등이 무대에 오른다.

또한 이번 공연에서는 한국 관객들에게 처음 소개되는 5개국 극작가와의 ‘작가와의 대화’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각 공연 후 현지 극작가와 화상 플랫폼을 통해 직접 소통하며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다.

서울연극센터는 ‘아시아 플레이’에 이어 오는 11월에는 중장년 예술가들을 위한 프로젝트 ‘가을’을 운영할 예정이다. 모든 공연은 네이버 예약을 통해 무료로 사전 신청할 수 있으며, 현장 관람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