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국군의 기원을 본격적으로 탐구한 군사사학서 ‘국군의 뿌리, 한국광복군’이 출간됐다. 저자 조승옥 박사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철학자 출신 군사학자로, 30여 년간 육사 교수로 재직하며 군의 실무와 학문을 두루 경험한 인물이다. 그는 이번 저서를 통해 오랫동안 상징적으로만 언급되어 온 ‘한국광복군’의 실체를 방대한 사료와 치밀한 분석으로 되살려냈다.
이 책은 1940년 9월 중국 충칭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창설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를 중심으로, 지청천·이범석·김원봉 등 주요 지휘관의 활동과 미군 전략사무국(OSS)과의 합작 훈련, 여성 광복군의 활약상, 해방 이후 국군 창설 과정 등을 총체적으로 다룬다. 또한 광복군의 주 무대였던 충칭·시안·인도 전선을 따라가며 군사적 사실뿐 아니라 병사들의 인간적인 신념과 헌신을 조명한다.
조 박사는 “광복군은 대한제국 군대와 의병, 독립군의 정신을 계승해 대한민국 국군으로 발전했다”며, 국군의 정통성이 미군정 경비대가 아닌 임시정부의 정규군 ‘광복군’에 있다고 강조한다. 그는 더 나아가 국군 창설일을 1940년 9월 17일로 제정해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국군의 뿌리, 한국광복군’은 다양한 1차 사료를 토대로 광복군의 법적 지위와 국제적 역할을 구체적으로 입증한다. 특히 미군과의 합동작전 준비 및 국내정진군 파견 계획 등을 통해 광복군이 단순한 상징이 아닌 실질적 전투조직이었음을 밝히며, 여성 광복군의 활약을 통해 ‘민족해방 운동의 총체적 상징’으로서의 의미도 새롭게 조명한다.
군사철학자이기도 한 저자는 결론에서 ‘광복군 정신’을 오늘날 국군 가치로 재해석하며 충성·자주·연합·헌법정신 등 네 가지 핵심 유산을 제시한다. 그는 “광복군의 정신은 대한민국 국군이 자유와 정의를 수호하는 국민의 군대임을 증명하는 근본 가치”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