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올해 연말까지 전통시장의 점포와 시설물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전통시장 3D 입체주소 지능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기존 빌딩이나 아파트처럼 동·층·호 등의 상세 주소가 없어 방문이 어려웠던 전통시장 점포에 3차원(X-Y-Z) 좌표 기반의 입체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활용한 3D 지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시장 방문객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화재 및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사업 대상은 경동시장, 서울약령시장 등 건물형 시장 2곳과 청량리전통시장, 청량리청과물시장 등 골목형 시장 7곳을 포함한 총 9개 시장, 약 1,400여 개 점포(13만㎡)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전통시장을 건물형·골목형·복합형으로 구분한 후, 점포의 위치와 소방·전기·가스 안전시설 등의 정보를 포함한 기초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후 360도 카메라 및 스캐닝 라이다(LiDAR)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고정밀 3차원 공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입체주소 및 3D 지도를 구현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전통시장에 3D 입체주소 시스템을 도입하는 사례로, 향후 전국 단위 확산도 기대된다.

서울시는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한국국토정보공사, 청량리 전통시장 9개 상인회, 동대문구, 서울소방재난본부 등과 협의체를 구성해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첨단 3차원 공간정보 기술을 적용한 주소 체계 혁신을 통해 대한민국 전통시장 환경을 변화시키고, 시민들의 일상 편의와 안전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