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종 타종 미디어 아트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종이자 깊고 은은한 소리로 잘 알려진 국보 성덕대왕신종을 오감으로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 국립중앙박물관에 마련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설전시관 3층에 시각, 청각, 촉각을 활용해 유물을 감상할 수 있는 감각전시실 ‘공간_사이’를 새롭게 조성했다고 밝혔다.
‘공간_사이’는 금속공예실과 청자실 사이에 위치한 전시 공간으로, 한국 범종 소리의 울림을 색다르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박물관 관계자는 “관람객의 연령, 국적, 장애 유무, 박물관 경험의 차이를 넘어 모두를 이어주는 의미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전시실에 들어서면 성덕대왕신종의 웅장한 소리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높이와 폭 각각 4m 크기의 대형 LED 화면을 통해 종소리의 특징인 ‘맥놀이’ 현상이 시각적으로 구현돼 깊이 있는 공명을 감상할 수 있다. 맥놀이는 소리의 강약이 반복되며 길고 은은하게 퍼지는 현상으로, 성덕대왕신종의 독특한 울림을 형성하는 요소다.
소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마련된 ‘청음 의자’에는 진동기 기계가 부착돼 있어 관람객이 종소리의 압력을 몸으로도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성덕대왕신종을 축소한 모형과 범종 제작에 쓰이는 구리, 주석 등의 재료를 직접 만져볼 수 있는 공간도 조성돼 있다.
특히 이번 전시는 접근성을 고려해 다양한 관람객이 불편 없이 감상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한국 수어와 음성 해설, 큰 글씨, 영어 번역이 함께 제공되며, 변강석 강남대 수화언어통번역학과 초빙교수와 그의 연구팀 ‘수어민들레’가 수어 작업을 맡았다. 음성 해설은 애니메이션 ‘세일러문’과 영화 ‘타이타닉’ 속 목소리로 유명한 최덕희 성우가 녹음해 보다 친숙한 방식으로 내용을 전달한다.
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보다 많은 관람객이 성덕대왕신종의 소리를 온전히 경험하고, 박물관이 모두를 위한 열린 공간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