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국립극장과 협력해 기획한 전시 ‘공연예술, 시대를 담다’가 오는 6월 15일까지 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20세기 이후 한국 공연예술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무대 예술이 시대의 흐름을 어떻게 반영해 왔는지를 조명한다. 공연예술이 단순한 예술의 영역을 넘어 시대와 함께 호흡해온 문화적 기록물임을 보여주는 자리다.

전시는 1부 ‘공연예술, 시대와 함께 숨쉬다’와 2부 ‘무대미술, 공연을 창조하다’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한국 근대 공연예술의 형성과 국립극장의 설립, 국립예술단체의 창설 과정을 다양한 기록 자료와 함께 소개하며, 1960년대 명동 국립극장(현 명동예술극장) 개관 모습과 1970년대 장충동 국립극장 공사 당시 사진 등도 만나볼 수 있다.

2부는 공연예술의 시각적 완성도를 보여주는 무대미술에 집중한다. 국립창극단의 대표작 ‘패왕별희’, ‘리어’, ‘나무, 물고기, 달’, ‘정년이’의 무대의상과 소품이 전시되며, 국립무용단의 ‘묵향’, ‘회오리’ 등 주요 작품의 의상도 함께 소개된다. 이들 작품의 실물 자료가 일반에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시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자세한 정보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