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모세왓 유문암질 각력암지대'
국가유산청은 1일 제주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내 ‘한라산 모세왓 유문암질 각력암지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계획을 예고했다.
모세왓은 제주 방언으로 ‘모래’와 ‘밭’을 합친 말로, 백록담 외곽에서 약 2.3㎞ 구간에 걸쳐 크기와 형태가 제각각인 유문암질 암석 조각들이 넓게 분포해 있는 곳이다. 최대 폭은 500~600m에 달하며, 약 2만 8천년 전 소규모 용암돔이 붕괴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문암은 이산화규소 함량이 높은 화산암으로 밝은색을 띠며, 제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무암질 암석과 대조된다. 이 지역은 마그마가 식어가며 성분이 변화하는 ‘마그마 분화 작용’의 마지막 단계에서 만들어진 암석이라는 점에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한라산 고지대의 화산 퇴적층 순서를 알게 하는 열쇠층으로 지질학적 가치가 높다”며, “제주에서 유문암질 암석의 존재가 처음 확인된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예고 기간은 30일간이며,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자연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이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이 지역은 향후 화산 재해 예측과 마그마 분화 과정 연구의 중요한 현장으로 자리할 전망이다.